기본 운형 10종
간단히 구름 분류의 역사를 보면, 1802년 프랑스의 Lamarck가 최초로 구름의 분류를 제안하였고, 1803년 영국의 과학자 Luke Howard가 구름분류 시스템을 만든 이후 약간씩 수정되어 사용되어 오다가 현재는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세계기상기구. UN의 전문 기구임)에서 정한 기본 운형 10종을 기본구름으로 인정하여 세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름은 여러개의 라틴어 조합으로 명명됩니다. 앞의 다섯 단어는 라틴어입니다. 알아두시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겁니다..^^
간단히 구름 분류의 역사를 보면, 1802년 프랑스의 Lamarck가 최초로 구름의 분류를 제안하였고, 1803년 영국의 과학자 Luke Howard가 구름분류 시스템을 만든 이후 약간씩 수정되어 사용되어 오다가 현재는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세계기상기구. UN의 전문 기구임)에서 정한 기본 운형 10종을 기본구름으로 인정하여 세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름은 여러개의 라틴어 조합으로 명명됩니다. 앞의 다섯 단어는 라틴어입니다. 알아두시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겁니다..^^
cirrus- : 영어로 'curl(곱슬머리)' 의 의미. 권(卷, 문서 권, '감다, 말다'의 뜻이 있음)
stratus- : 영어로 'spreading, cover' 의 의미. 층(層, layer)
cumulus- : 영어로 'heap, pile' 의 의미. 적(積, 쌓을 적)
nimbus- : 영어로 'rainstorm' 의 의미. 란(亂, 어지러울 란)
alto- : 영어로 'high(高)' 의 의미.
High-level clouds (상층운)
: 고도 6km ~ 15km - 온도가 낮고 건조. 구름이 얇고 흼. 거의 빙정으로 구성.
1) 권운(卷雲, Ci. Cirrus) : 운립이 빙정상태이고 흰색을 띰. 연달아 있는 새털 모양. 얇고 흼. 햇빛을 차단하지 않음. - 줄무늬, 명주실 모양 : 새털구름, 털구름, 견운(絹雲, 비단 견), 선 또는 띄 모양. 무리가 나타나기도 함.
2) 권적운(卷積雲, Cc. Cirro-cumulus) : 빙정상태. 작은 잔물결(또는 자갈돌)과 연기 모양. 얇고 흼. 작은 덩어리가 발달. 태양이나 달빛에 의하여 광관현상(光冠現狀, corona - 라틴어로 'corona'가 왕관이라는 뜻), 채운현상(彩雲現狀, cloud iridescence or irisation. 빙정을 포함한 높은 구름이 태양과 가까운 각도에 있을때 아름다운 빛깔을 띠는 현상. )을 일으키기도 함. - 조개구름, 비늘구름, 털쌘구름, 견적운(絹積雲), 생선비늘 모양, 렌즈 모양, 유방 모양.
3) 권층운(卷層雲, Cs. Cirro-stratus) : 빙정상태. 반투명한 베일(면사포) 모양. 얇고 흼. 연속적으로 하늘을 덮음. 해무리 또는 달무리를 형성. 온난전선의 전면에 나타나므로 비가 올 가능성이 높다. - 털층구름, 햇무리구름, 면사포 구름, 견층운(絹層雲)
2) 권적운(卷積雲, Cc. Cirro-cumulus) : 빙정상태. 작은 잔물결(또는 자갈돌)과 연기 모양. 얇고 흼. 작은 덩어리가 발달. 태양이나 달빛에 의하여 광관현상(光冠現狀, corona - 라틴어로 'corona'가 왕관이라는 뜻), 채운현상(彩雲現狀, cloud iridescence or irisation. 빙정을 포함한 높은 구름이 태양과 가까운 각도에 있을때 아름다운 빛깔을 띠는 현상. )을 일으키기도 함. - 조개구름, 비늘구름, 털쌘구름, 견적운(絹積雲), 생선비늘 모양, 렌즈 모양, 유방 모양.
3) 권층운(卷層雲, Cs. Cirro-stratus) : 빙정상태. 반투명한 베일(면사포) 모양. 얇고 흼. 연속적으로 하늘을 덮음. 해무리 또는 달무리를 형성. 온난전선의 전면에 나타나므로 비가 올 가능성이 높다. - 털층구름, 햇무리구름, 면사포 구름, 견층운(絹層雲)
Middle clouds (중층운)
: 2km ~ 6km - 대부분 수적. 일부는 빙정.
1) 고적운(高積雲, Ac, Alto-cumulus) : 운립이 거의 수적이나 일부 빙정도 있음. 흰색부터 암회색의 연기, 잔물결. 광관, 모양은 권적운과 비슷하나 덩어리가 큼. - 높쌘구름, 양떼구름. 평평한 파형이나 롤형. 광관, 채운. 보통 고적운과 권적운은 구별하기가 곤란하므로 편의상 겉보기 각도가 1도 미만이면 권적운, 1도 이상~5도 미만이면 고적운으로 분류한다.
2) 고층운(高層雲, As, Alto-stratus) : 수적과 빙정 상태. 흰색부터 회색까지 고르게 하늘을 거의 덮으나 태양의 존재는 확인이 가능. 무리는 없음. 비나 눈이 내리는 수가 있음. - 높층구름, 회색차일구름
2) 고층운(高層雲, As, Alto-stratus) : 수적과 빙정 상태. 흰색부터 회색까지 고르게 하늘을 거의 덮으나 태양의 존재는 확인이 가능. 무리는 없음. 비나 눈이 내리는 수가 있음. - 높층구름, 회색차일구름
Low clouds (하층운)
: 2km 미만 - 거의 수적으로 되있으나 추운 날엔 빙편과 눈을 포함.
1) 층운(層雲, St. Stratus) = 안개 구름 : 균일한 운저의 흐린 회색 빛으로 하늘을 고르게 덮음. 운저가 가장 낮음. 안개비, 가는 얼음, 가루눈이 내리는 경우가 있다. - 층구름, 안개구름, 두루마리구름
2) 난층운(亂層雲, Ns, Nimbo-stratus) : 운저가 혼란스러운 암회색. 운량이 많고 강수가 있음. 보통 하늘 전체를 덮으며, 두꺼워서 태양을 가린다. 많은 비나 눈을 동반. - 비구름, 비층구름
3) 층적운(層積雲, Sc, Strato-cumulus) : 수적 상태로 진한 회색을 띰. 부드러운 회색의 조각 모양. 드물지만 약한 강수를 동반하기도 함. 보통 구름 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이고 큼직한 구름덩어리들이 열을 지어 나타나기도 하고 둘둘 말린 모양이나, 파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때로는 하늘 전체를 덮을 정도로 넓게 퍼져 있기도 한다. 겉보기 각도가 5도 미만이면 고적운, 5도 이상이면 층적운. - 층쌘구름
2) 난층운(亂層雲, Ns, Nimbo-stratus) : 운저가 혼란스러운 암회색. 운량이 많고 강수가 있음. 보통 하늘 전체를 덮으며, 두꺼워서 태양을 가린다. 많은 비나 눈을 동반. - 비구름, 비층구름
3) 층적운(層積雲, Sc, Strato-cumulus) : 수적 상태로 진한 회색을 띰. 부드러운 회색의 조각 모양. 드물지만 약한 강수를 동반하기도 함. 보통 구름 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이고 큼직한 구름덩어리들이 열을 지어 나타나기도 하고 둘둘 말린 모양이나, 파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때로는 하늘 전체를 덮을 정도로 넓게 퍼져 있기도 한다. 겉보기 각도가 5도 미만이면 고적운, 5도 이상이면 층적운. - 층쌘구름
Vertically developed clouds (수직운)
1) 적운(積雲, Cu. Cumulus) : 운저가 수평(응결고도). 편평한 밑바닥을 가진 꽃양배추 모양. 둥근 언덕이나 탑모양. 여름철 맑은 날에 발생. 거의 수적으로 되있으나 일반적으로 비는 내리지 않음. - 뭉게구름, 쌘구름
2) 적란운(積亂雲, Cb. Cumulo-nimbus) : 적운이 발달하여 성장. 연직방향으로 크게 뻗치며 거대한 산이나 탑모양을 형성. 거대하게 부풀어 있으며, 흰색, 회색, 검정색, 종종 모두 형태. 수적과 빙정으로 되있으며, 소나기와 뇌우 동반. - 쌘비구름, 소나기구름
2) 적란운(積亂雲, Cb. Cumulo-nimbus) : 적운이 발달하여 성장. 연직방향으로 크게 뻗치며 거대한 산이나 탑모양을 형성. 거대하게 부풀어 있으며, 흰색, 회색, 검정색, 종종 모두 형태. 수적과 빙정으로 되있으며, 소나기와 뇌우 동반. - 쌘비구름, 소나기구름
'지식 창고 > 기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트레일(비행운, contrail)과 더블 콘트레일(double contrail) (4) | 2014.02.07 |
---|---|
불타는 비행운 (14) | 2013.02.11 |
구름의 종류 - 기본 운형 10종 (16) | 2013.02.05 |
하얀 궤적, 비행운(contrail) (2) | 2012.12.15 |
날씨, 자연현상과 관련된 어휘 모음 (2) | 2010.08.20 |
안개 구름 (층운) (8) | 2010.08.03 |
구름 모양이 각기 다르다는것만 알고있었지 저리 분류가 확실히 되어있는지는 몰랐네요.
고등학교때들어본 수직운 두가지뿐이 몰겠네요 ㅎㅎ
즐거운 12월 맞이하세요 ^^
벌써 12월인가요. 여름 구름이 멋있는뎅 ㅋㅋ 올해 남은 뜻있게 보내세요 ^^
정말 여러가지 도움이 되는 정보입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름 정보를 정리해본건데 도움되셨다니 다행이네요 ^^
오호.. 구름도 종류가 많군요.
구름 운형은 10종류로 나누고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종류가 훨씬 더 많은 듯 합니다. 많은 구름 사진을 찍어보려는게 제 계획입니다... 근데, 오늘 카메라를 잃어버렸어요 ㅋㅋ 딴건 몰라도 구름 사진 찍는 프로젝트는 계속하고 싶은뎅... ㅠㅠ
와우~ 이런 체계를 나눈 사람이 있었군요
전 그저 수업시간에 몇 개 있다는 것만 알았는데...
아~ 그리고 전 항상 처음 화면만 보고 새로운 글이 안 올라온줄 알았는데 옆에 새로운 글이 있었네요~ ^^;
허거덕.... 블로그 구성을 바꿔야 되겠는데요. ㅠㅠ
최신순으로도 설정 가능합니다 ^^;
전 그렇게 해놓거든요~
구름을 좋아하시나 봐요...
구름과 기상현상에 대해 조금 관심이 있습니다 ^^
라틴어 알토가 높다는 뜻이었군요...
항상 알토라는 단어가 붙는 부분에서는,음악의 소프라노/알토가 떠오르다보니 높다는 뜻이리라곤 전혀 생각지 못했어요!
저도 이거 조사하기 전에는 전혀 알지 못했네요..
라틴어가 들어간 단어가 한두개가 아니지만 알아두면 좋을것 같아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학교 과제에 참고하겠습니다.좋은정보감사해여
네. 좋은 결과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