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분류학상 생물분류체계 요약

지식 창고/잡상식 잡리뷰 2014. 2. 14. 02:46


식물에 대한 포스팅을 자주 하면서 해당 식물에 대한 학명 등을 기입하곤 하는데 기본적으로 생물분류체계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 둘 필요가 생기더군요.

사실 알고 있는 지식이란 중학교 때 배운 계문강문과속종 순의 생물 분류를 기억하고 있는게 전부죠.

현재는 과거의 계문강문과속종(또는 종속과목강문계)에 의한 생물분류에 약간의 변화가 있는데 참고할 정도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분류범주 [taxonomic category]에 따른 분류학상 계급[taxonomic rank]은 기본적으로 상위 계층에서부터 <계-문-강-문-과-속-종> 으로 내려가며 그 사이사이에 또다른 계층이 들어가 있는 구조라고 보면 됩니다.

아래는 각 기본 계급별 영문, 라틴어 표기를 나타낸 것입니다.

 

-영역(domain, regio)

-계(kingdom, regnum)

-문[division, divisio(식물), phylum,phylum.(동물)]

-강(class, classis)

-목(order, ordo)

-과(family, familia)

-속(genus, genus)

-종(species,speciese)

 

기본 단계는 위와 같으나 각 단계 사이사이에 또다른 분류를 집어넣기도 하는데 과밑에 족(tribe, tribus)을 두기도하고, subfamily(아과), Subphylum(아문), subspecies(아종. ssp. 또는 subsp.) 와 같이 특정단계 밑에 "아(亞), -sub"를 붙여 아과, 아문, 아종 등의 단계를 두기도 합니다. 그외에 변종(var.) 등의 표기도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학명으로 표기하는 것은 종이름인데 두 자리 단어로 표기합니다(명명자를 뒤에 붙이기도 합니다만 번거로운 표기라 보통은 안씁니다).

예를들어 인류를 일컫는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Homo 속의  Homo sapiens 종을 말하는 것이고 특히 현대 인류는 Homo Sapiens Sapiens 라는 아종으로 분류를 합니다.

같은 식으로 제가 예전에 포스팅했던 얼룩자주달개비의 경우의 Tradescantia zebrina 라는 학명은 Tradescantia 속의 Tradescantia zebrina종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범고래로 부르고 killer whale 또는 orca라고 잘 알려진 종은 Orcinus Orca 가 그 종이름입니다. 

참고로 인간의 분류범주는 아래와 같습니다.

영역(domain) - Eukarya(진핵생물) 
계(Kingdom) - Animalia (동물계) 
문(Phylum) - Chordata (척삭동물문) : 아문 중에 하나가 척추동물아문(Vertebrata)
강(Class) - Mammalia (포유강)
목(Order) -  Primates (영장목)
과(Family) - Hominidae (사람과)
족(Tribe) - Hominini (사람족)
속(Genus) - Homo (사람속)  
종(Species) - Homo Sapiens (호모 사피엔스 종)
아종(Subspecies) - Homo Sapiens Sapiens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아종)

 

                                                                                               <출처 : 위키피디아>

사람과(Hominidae)에 속하는 것은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 사람이 있으며 나머지 원숭이 종류는 영장목(Primates)에서 따로 갈라져 나갑니다.

사람과의 침팬지속(Pan), 오랑우탄속(Pongo), 고릴라속(Gorilla), 사람속(Homo)은 유전적으로 아주 가까우며 사람족(Hominini)에서 갈라져나온 사람속(Homo)과 침팬지속(Pan)은 유전적으로도 제일 가깝습니다. 이 침팬지속(Pan)에 속하는 것은  침팬지(chimpanzee)와 보노보(bonobo) 두 종류만 있습니다. 즉, 인간과 제일 가까운 동물은 침팬지와 보노보라는 얘기.

물론...  사람속(Homo) 에서 갈라져 나와 최종적으로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까지 도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구체적으로 사람속(Homo)에는 우리가 잘 아는 Homo sapiens, Homo erectus, Homo floresiensis, Homo habilis, Homo heidelbergensis, Homo naledi, Homo neanderthalensis 등이 속해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위키피디아 찾아보시면 아주 자세하게 영어로 나와있습니다..(참고)

 

  

우리에게 다소 생소한 영역(domain)이라는 분류에 대해서는 대해 좀더 소개를 해보겠습니다.

영역(domain)은 비교적 최근에 분류되기 시작했으며 분류범주라는게 학문적 연구에 따라 조금씩 변화가 있기도 합니다.

현재 생명체의 가장 기본이 되는 갈래(생명의 나무 : the tree of life)는 세균(bacteria), 고세균(archaea), 진핵생물(eukarya) 의 세 영역으로 나뉘며 비교적 최근인 1990년에 분류된 범주입니다. 

우선은 생물은 원핵생물과 진핵생물로 나뉩니다. 원핵생물은 원시적인 세포핵을 가진 생물로 대부분 단세포이며 세포막이 없는반면, 진핵생물은 세포에 막으로 싸인 핵을 가진 생물입니다.

원핵생물은 세포핵이 없으며 고세균과 세균으로 나뉩니다. 

고세균(Archaea , 古細菌)과 세균(bacteria)는 세포막, 세포벽을 구성하는 물질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세균을 진성세균이라고도 부릅니다.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생물이 대부분 진핵생물이라고 보면되고, 일반적으로 우리가 들어보지 못한 이름의 작은 생물들은 세균, 고세균 들의 영역이라고 보면 됩니다.

아무튼 인간의 경우에는 진핵생물(eukarya)의 영역(domain)에 속합니다.

 

아래는 위키피디아에서 발췌한 생명의 계통수 (系統樹 : phylogenetic tree) 입니다. 동물계와 식물계는 진핵생물(Eukaryota) 영역(domain)의 한 계(kingdom)일 뿐입니다.

 

이상으로 대략적으로 생물분류법을 요약해 보았는데 이 정도만 아셔도 기본적인 것은 다 이해하셨다고 봐도 됩니다.

내용에 오류가 있어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 참고하실 분은 위키피티아에서 차례차례 링크를 따라가며 읽어보시면 될 겁니다.. 영문이고요..  http://en.wikipedia.org/wiki/Taxonomic_rank

네이버 블로그의 http://blog.naver.com/daks_gada?Redirect=Log&logNo=10038866868 글과 http://cafe.naver.com/jen7905/7232 도 참고하시면 도움되실 겁니다.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지식 창고 > 잡상식 잡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전기제품을 위한 멀티전원 아답타 COMS-WD-9  (4) 2014.10.24
마약의 중독성과 해로움의 정도 그리고 대마초(마리화나)의 합법화에 대하여  (39) 2014.03.25
생물분류학상 생물분류체계 요약  (5) 2014.02.14
아르헨티나발 GMO의 비극  (10) 2013.12.04
종교에 대한 흥미로운 설문 통계  (4) 2013.11.07
새로 출시된 포르투갈 맥주 "수퍼복 스타우트(SUPER BOCK STOUT)" 와 코로나(Corona)  (12) 2013.09.20
Archaea, bacteria, eukarya, phylogenetic tree, 계문강목과속종, 계통수, 고세균, 리뷰, 생명의 나무, 생물분류법, 생물분류학, 세균, 종속과목강문계, 진핵생물, 특집, 호모 사피엔스,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TRACKBACK 0 AND COMMENT 5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1. BlogIcon 솜다리™ 2014.02.14 09:40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렇게 전체적인 체계를 알고 접근하면...
    식물 이름 기억하고 분류하는 거 그리 어렵지 만은 않을듯 하내요..

    • BlogIcon Naturis 2014.02.14 23:28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이전에는 식물이름을 대충 알아두고 포스팅했는데 오랫동안 식물을 다루다보니 그냥 간단한 이름으로 포스팅하긴 무리가 생기더라구요. ^^

  2. BlogIcon 전포 2014.02.17 19:35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잘보고 갑니다. 추천 누르고 갈게요 ^^;

  3. 피아 2014.03.22 18:33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참고합니다~

  4. 감사합니다 2015.12.30 22:0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잘보고 가요!


PREV 1 ··· 1588 1589 1590 1591 1592 1593 1594 1595 1596 ··· 3164 NEXT
POWERED BY DAUM & TISTORY | SKIN BY IENDEV | IS Base 0.33
COPYRIGHT ⓒ Naturi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BLOGGER.
Fortune favours the brave.
by Naturis

찾아보기

  • 댓글달기 로그인 풀리는 오류

카테고리

전체글 보기 (3164)
블로그 이야기 (283)
끄적끄적 (250)
블로그 활용팁 (32)
컴퓨터 IT 오디오 (410)
게임 (102)
팁 & 리뷰 (293)
라즈베리파이 활용하기 (9)
펜타프리즘 (1480)
촬영 장비 (23)
사진 (1457)
여행 (311)
자전거 (23)
산 바다 (53)
공원 문화재 (219)
해외 (11)
건강과 다이어트 (96)
문화예술 (388)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319)
책과 음악 (67)
경제 이야기 (40)
재테크 (30)
경제의 이해 (10)
지식 창고 (155)
기상학 (21)
요리 맛집 (9)
우리말 외국말 (28)
목공 DIY (24)
잡상식 잡리뷰 (73)

최근 발행글

  • [영화 소감] 내 머리 속의 지우⋯ (5)
  • <영화> 스타맨(1984) & <드라마⋯ (10)
  • 영화 <미드나이트 스카이 The M⋯ (4)
  • 겨울 농촌 - 가을의 흔적들 (10)
  • [영화소감] 원더우먼 1984(Wond⋯ (8)
  • [짧은 영화리뷰] 용길이네 곱창⋯ (12)
  • 영화 음악가 헨리 맨시니&존 윌⋯ (6)
  • 미국 올드 팝 싱어 <코니 프랜⋯ (8)
  • <추천 미드> 더 만달로리안(The⋯ (2)
  • [추천 다큐] 마이클 조던: 더⋯ (10)
  • <다큐 영화> 파이어볼 (Firebal⋯ (8)
  • 영화음악가 반젤리스와 한스 짐⋯ (4)
  • 영화 <스탠 바이 미 Stand By M⋯ (8)
  • 영화음악가 블라디미르 코스마(⋯ (2)
  • 영화음악가 엔니오 모리꼬네 &⋯ (6)
  • 가을 거미&벌집 (10)
  • [영화리뷰] 길다 (Gilda, 1946)⋯ (6)
  • 시골집 잡동사니 (16)
  • 도나 썸머(Donna Summer) - 디⋯ (6)
  • 이슬 먹은 들꽃들 (7)
  • 옛날 가수 줄리 런던(Julie Lon⋯ (8)
  • 가을 잡풀들 (12)
  • 포르투갈 파두 가수 둘체 폰테스 (8)
  • 꼭지와 바퀴 (10)
  • 평범한 시골집 주변 풍경 (12)
  • 잎사귀 (6)
  • 이슬맞은 데이지 & 부전나비 (6)
  • 집냥이짓 하는 들냥이 (10)
  • 호박꽃 & 한련초꽃 (10)
  • 가을, 수확의 계절 (6)
반응형

최근 댓글

  • 내머리 속의 지우개 다시 보고⋯
  • 포장마차 장면은 한번쯤은 따라⋯
  • 안녕하세요 저 사이트들 따로⋯
  • 정말 명작 중에 명작이라고 자⋯
  • 정우성, 손예진 주연의 내머리⋯
  • 오래전 보았는데 내용이 가물거⋯
  • 오래된 영화를 다시 봤는데 좋⋯
  • 의외로 못보신 분들이 많은 SF⋯
  • ET를 좋아하셨군요. 죄송합니다⋯
  • SF영화인데 로드무비 형식의 영⋯
  • 남편분이 이런 SF영화를 좋아하⋯
  • 2채널 앰프에 rca출력단자가⋯
  • ^^
  • 특문 잘쓸게여
  • 오늘은 공상 과학 영화 한편을⋯
  • 페북에 저런애들 많아요 근데⋯
  • 저는 아직 못본 영화인데 내용⋯
  • 저에게 ET는 인생영화입니다.⋯
  • 로드 무비 형식이로군요 스타맨⋯
  • 우리 남편 정말 좋아할것 같아⋯

추천 포스팅

  • - 유전자조작식품(GMO)의 진실
  • - 마약의 중독성과 대마초 합법화
  • - 더블 스피크(doublespeak)와 대중기만
  • - 우울증 - 원인과 진단, 그리고 대처법
  • - 브래지어 종류 및 사이즈 측정법
  • - 생물분류학상 생물분류체계
  • - 대한민국 원자력발전과 위험성
  • - 특수문자 입력 프로그램
  • - 연도표기법
  • - 그래프로 보는 사형제 현황
  • - 토렌트 사용법
  • - 유기농 섬유제품 인증마크 - GOTS,OE
  • - 구름의 종류 : 기본 운형 10종
  • - 간질 발작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법
  • - 설탕중독에 대한 이해
  • - All Tag

방문자 수


TODAY 354 | YESTERDAY 639
01-26 17:47


티스토리툴바